ART TOUR · MUSEUM
이제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NOW WHAT?
Group Exhibition
서울시립미술관
참여 작가 샘 발로우(Sam Barlow)는 한 인터뷰에서 자신의 작업 과정을 레몬 머랭 파이를 만드는 것에 비유했다. 파티시에가 익숙한 파이의 모양과 경험을 버리고 분해된 파이를 제공할 때 우리는 훨씬 더 의미 있는 달콤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는 것. 여전히 본질은 레몬 머랭 파이지만 평소와 다르게 먹는 경험에서 더 많은 감각과 사유를 하게 되고 특별한 기억으로 남는다는 것이다.
이처럼 본 전시는 비디오 아트의 의미 있는 달콤함을 위하여 본래의 구조를 해체하여 원료가 되는 사건과 작가의 경험, 감정, 의미들을 흩어놓고 뒤섞었다.
“이제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이제 관객의 차례다. 게임의 시작을 알리는 질문은 당신이 시도하려는 거의 모든 행위가 가능할 것이라는 부추김이다. 관객은 이 전시에서 비디오 아트가 만들어지는 조건들을 탐험하게 될 것이다. 자신만의 특별한 맛을 찾기 위해 미디어 기억의 조각들을 재조합하고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우리는 관객이 한 명의 플레이어가 되어 비디오 아트 감상의 즐거움과 작가들이 이야기하는 본질에 깊이 다가가길 기대한다.
23.04.25-07.09 《이제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NOW WHAT?》 전시 전경, Courtesy of the SeMA and artist,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동시대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뉴 미디어는 가장 많은 사람들이 향유하는 매체다. 셀 수 없이 다양한 형식들이 복잡한 노드를 이루고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무한한 경험의 가짓수를 창출한다. 하지만 그러한 뉴 미디어의 속성도 화이트 큐브의 포맷으로 들어오면 버벅거리기 시작하고 그리 극적으로 작동하지 않았다. 그것은 태생적으로 일방향의 매체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미술 전시의 태도는 경험과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여전히 아쉬운 지점이 있다. 특히 우리가 살피고자 하는 비디오 아트는 폭발적으로 순환하는 미디어 생태계 속에서 하얀 벽에 걸린 오래된 그림처럼 관객을 맞이하는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우리는 비디오 아트의 본질이 스크린에 맺히는 프로젝터의 빛과 검은 패널은 아니라고 믿는다. 비디오 아트의 경험적 층위는 보다 복잡하고 자율적인 방식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그래서 이를 위해 비디오 아트를 선행연구하고 작가들과 함께 작품을 구성하는 수많은 요소들을 ‘게임적 연출’로 구현했다.
우선 우리는 전통적인 필름 메이킹을 시작으로 다큐멘터리, 인터랙션 비디오, 라이브 시뮬레이션 등 뉴 미디어를 다양한 방식으로 다루는 작가들을 초청하였고 그들의 작품 중 단채널 비디오로 귀결되는 형식의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23.04.25-07.09 《이제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NOW WHAT?》 김재원, 구속의 섬, 낙원의 섬, 2020, Courtesy of the SeMA and artist,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가장 먼저 ‘샘 발로우, 하프 머메이드 프로덕션(Sam Barlow, Half Mermaid Productions)’은 기존의 영화가 가진 일방향성과 단선적 구조를 해체하여 비디오 아트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게임 <이모탈리티>를 제작했다. 플레이어는 편집실에 앉아 합쳐지지 않은 영화 세 편의 모든 신을 펼치고 재조합해 촬영되지 않은 행간을 유추해야 한다. 이는 본 전시가 촉발된 계기와도 맞닿아 있는 중요한 예시로서 우리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다.
23.04.25-07.09 《이제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NOW WHAT?》 김재원, 구속의 섬, 낙원의 섬, 2020, Courtesy of the SeMA and artist,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김재원(Jaewon Kim)’은 퀴어와 질병 감염인의 삶, 연인과의 사랑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의 작품은 이미지를 분절하거나 기억을 재구성하는 수법으로 연인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구성된다. 우리는 이 작품들을 수행적 차원으로 변환하여 유사 감정 경험 장치들을 전시 공간 곳곳에 놓았다.
‘리아 리잘디(Riar Rizaldi)’는 인도네시아와 홍콩에 거주하면서 사회, 경제적 관점에서 소외되는 개인이나 특정 집단에 주목한다. 전시장에서 관객은 자연스러운 수행적 행위를 통해 어느새 소외된 개인이자 특정 집단이 되어 부조리한 역사의 구조나 고착된 삶에 대해 거부하는 작가의 태도와 동기화되어 이미지를 목격하고 증언들을 수집하게 될 것이다.
‘인터넷산악회(Internet Mountain Club)’의 등산 다큐멘터리 <진경산수>는 등산객의 눈에 보이지 않았던 산의 이면을 자세히 들여다보게 한다. 그들은 비디오에서 ‘산’의 실재적 지형도 위에 민족, 정체성, 문화, 세대, 기후 등 시대의 총체적 이야기를 전달하고 관객에게 시대의 목격자가 되어줄 것을 요청한다. 우리는 이러한 비디오의 의지를 이어받아 목격자로서의 행위와 경험을 구체화했다.
23.04.25-07.09 《이제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NOW WHAT?》 윤지원, 무제(관객에 대한 상대적인 작용), 2023, Courtesy of the SeMA and artist,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한편, ‘테오 트리안타필리디스(Theo Triantafyllidis)’는 인간과 비인간, 자연환경에 대한 정의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실과 유비되는 가상의 존재가 거주하는 메타 생태계를 구현한다. 그중 <버그심(페로몬 스파) (BugSim(Pheromone Spa))>은 자율 생태계가 작동하는 라이브 시뮬레이션 작업이다.
이 작품은 전시 공간에 특별하게 놓여 그 자체로 관찰과 탐구의 대상이 된다. 방학숙제로 모형 개미집을 관찰하는 것처럼, 혹은 현실을 반추하는 거울처럼 관람객과 상호작용하길 바라는 의도가 있다.
마지막으로 미술가이자 영화감독이기도 한 ‘윤지원(Yoon Jeewon)’은 색면으로 이뤄진 비디오 신작 <관객에 대한 절대적인 작용>(2023)을 선보인다. 이 작품의 구성은 러시아 영화감독 세르게이 예이젠시테인(Sergei Eisenstein)의 『작품의 구조에 대하여(1939)』에서 비롯한다. 관객이 탁월한 황금비를 관람하며 작품을 구성한 규칙을 유추해 보길 바란다. 규칙을 익히고 그 안에서 가능한 일을 연결하여 창발적 관람을 하는 것이야말로 비디오 아트를 가장 맛있게 볼 수 있는 방법일지도 모른다.
두 번째 단계로 위에 나열된 비디오 아트의 해석적 층위와 분절된 경험 조각들을 원활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게임적 텍스트를 마련하고 공간을 연출했다. 게임의 다양한 형식 중에서도 컴퓨팅 파워의 발전과 함께 플레이어에게 더 많은 상호작용을 요구했던 ‘이머시브 시뮬레이션(Immersive Simulation)’ 게임이 주요했다.
이를테면 초기 게임에서 플레이어의 행위가 필수적인 행위에 국한되어 있었다면, 이머시브 심에서는 플레이어가 환경의 거의 모든 요소와 상호작용한다. 플레이어는 본래의 의무와 관계없이 주어진 환경에서 자율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정해진 공략에 따르지 않고 반복되는 시도와 경험을 통해 새로운 규칙을 발견하여 창발적인 플레이를 할 수 있다. 또한 시행착오로 쌓인 숙련도는 게임 내 세계관에 대한 깊은 이해도와 몰입을 만든다.
23.04.25-07.09 《이제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NOW WHAT?》 전시 전경, Courtesy of the SeMA and artist,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이런 것을 고려한 전시 연출은 현대의 불확실성과 참여 작가들의 심리적 배경이기도 한 도시의 회색 지대를 무대로 한다. 그중에서도 ‘가상의 다리 밑’을 구현했다. 다리 밑은 관객들의 실패가 탈락이 아닌 경험과 숙련으로 돌아오는 림보와 같은 공간으로 이곳에서 작가들과 기획자들은 개인의 미디어적 경험과 주관적 기억들이 단순 감상을 넘어 공동의 경험과 기억, 언어로 기록되기 위해서 어떤 과정이 필요할지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렇게 고안한 과정은 활동지가 되어 모든 플레이어에게 주어진다. 플레이어에게 장소성이 1차적 기시감을 보여준다면, 활동지는 동사적 행위를 통해 작가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경험과 언어의 절차적 숙련을 돕는 튜토리얼이자 임무 목록인 셈이다. 이제 임무 목록을 손에 든 관객(플레이어)은 다시 우리의 질문을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이처럼 본 전시는 플레이어의 의지대로 자유롭게 동선을 정하고, 탐험하는 상호작용을 통해 작품의 규칙 혹은 언어를 경험적 차원에서 흡수하길 기대한다. 이것은 고도의 숙련된 태도를 통해 비디오 아트가 투사하는 현실과 미학적 인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동시대의 적극적인 관객이 던질 수 있는 “무엇을 위한 상호작용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비평적 답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참여 작가 · 주요 작품 소개
김재원(Jaewon Kim)
김재원은 영상, 설치 등 다각적 매체를 기반으로 퀴어와 질병 감염인의 삶에 대해 이야기하고 개인적인 경험을 확장하여 과거와 미래의 순간을 추적하는 서사를 구성한다.
비인간(질병)과 인간, 비감염인과 감염인 등 다층적인 조건에서 발생하는 상호 관계에 대한 배경이 작업의 기점이 되었으며, 주로 행위나 사건을 유추할 수 있는 특정 장소를 제시하거나 바이러스와 같은 대상을 연인 관계로 전환시키는 등 대상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재해석하고 탐구한다.
그의 작업 대부분은 결말이 없는 일련의 여정을 제시 하며 질병이 가진 힘이 상호 관계에 작용하는 여러 구조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구속의 섬, 낙원의 섬>(2020)은 침대를 섬으로 설정하고 이를 배경 삼아 다양한 층 위의 장면을 교차로 구성한다. 모텔의 퇴실 벨과 HIV 확진 통보를 받았을 때의 벨 소 리, 로맨틱한 순간의 모텔 침대와 병원 1인실 침대의 고립을 보여주며, HIV 감염인의 삶을 침대 너머로 펼쳐내는 시도를 한다.
23.04.25-07.09 《이제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NOW WHAT?》 김재원, 뉘앙스, 2022, Courtesy of the SeMA and artist,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뉘앙스>(2022)는 HIV 감염인과 그의 비감염인 연인의 감정적 풍경을 42장의 사진 모 음으로 묘사한다. 영상은 연인 관계 속 미묘하게 변화하는 추상적인 감정선을 조합하 며, 신뢰할 수 있는 약물 치료임에도 불구하고 뿌리 깊이 내린 오명으로 인해 단절될 수 있는 친밀감을 탐구한다.
윤지원 (Yoon Jeewon)
<무제(홈비디오)>(2020)는 작가가 학생 시절 교수에게 들었던 과제의 지침인 ‘개와 자신의 발, 지하철을 찍지 말라는 제약’을 이야기하면서 시작된다. 영화는 푸티지가 촬영된 때인 2020년 3월과 4월의 날짜를 따라 진행되며 지침을 위반하기 시작한다. 작가가 집안에서 머물거나 간헐적 외출을 하며 찍은 푸티지는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과거의 푸티지들과 연결되면서 역사적 사실과 설화, 사적인 기억, 허구를 이야기하는 보이스오버와 중첩되고 충돌한다. 이를 통해 작품은 팬데믹이 낳은 오늘의 풍경을 보여주며 작가가 머무는 지역의 문화와 정치가 이미지로 드러나는 순간을 포착한다.
23.04.25-07.09 《이제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NOW WHAT?》 윤지원, 홈비디오, 2020, Courtesy of the SeMA and artist,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관객에 대한 절대적인 작용>(2023)은 세르게이 예이젠시테인이 1939년에 쓴 <형식 연구 작품의 구조에 대하여>에서 비롯한 <관객에 대한 절대적인 작용> 연작의 일부이다. 예이젠시테인이 이야기한 유기성과 파토스를 충족하는 방식으로 제작된 작품에서 푸티지의 선택과 지속 시간은 모두 ‘자연적 질서의 유기성’을 따랐고, 작은 단위와 큰 단위는 동일한 구조를 공유한다.
<무제(관객에 대한 상대적인 작용)>(2023)은 <무제(홈비디오)>와 <무제(세계)>를 위해 찍은 푸티지 중 길게 지속하는 다섯 컷을 골라 이어 붙인 작품으로, 이 전시에서 <관객에 대한 절대적인 작용>과 짝을 이룬다. 영상은 카메라가 지닌 ‘자동적으로 기록하고 재생하는 능력’을 강조하지만, 영화가 보여주는 대상에 주목하고 몰입하길 요구하지 않는다. 대신 전시장의 다른 단편 혹은 관객의 기억에 있는 단편과 연결 가능한 대상으로서 제시된다.
인터넷산악회(Internet Mountain Club)
인터넷산악회는 권용득, 김재민이, 박가인, 박철휘, 배선영, 송아람, 유한솔, 장태훈, 최황, 홍영일로 구성된 콜렉티브로 한국에서 대중문화로 뿌리를 내린 등산을 연구자의 입장에서 오랜 시간 추적하면서 예능 프로그램이나 영화의 문법을 따라 등산 다큐멘터리를 만들고 있다.
사람들이 산의 어떤 모습을 좋아하는지, 어떤 방식으로 오르는지, 어떤 태도로 산을 바라보는지 포착하고 카메라에 담는다. 한국 등산의 역사를 파악하기 위해 일제 강점기부터 오늘까지 중요한 자료들을 모으는 한편, 등산객의 눈에 보이지 않았던 산의 이면을 자세히 들여다본다.
23.04.25-07.09 《이제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NOW WHAT?》 인터넷산악회, 진경산수, 2023, Courtesy of the SeMA and artist,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진경산수>(2023)는 대중문화로서의 등산과 한국 사회의 관계에 주목한다. 인스타그램에 ‘등산’이라는 해시태그가 달린 게시물은 460만 개가 넘고 주말이 지날 때마다 게시물 1 만 개씩 늘어난다. 일제강점기, 제국주의의 파도를 타고 한반도에 들어온 등산이 피식민 의 정체성을 뚫고 한 세기 동안 하나의 문화로 뻗어온 과정부터 새로운 세대가 등장하며 그 문화를 이어온 장면들을 조명하고, 기후 위기가 변화시키고 있는 한반도의 산에 시선 을 드리우면서 관객을 시대의 목격자로 만든다.
리아리잘디RiarRizaldi
미술 작가이자 영화 감독인 리아 리잘디는 주로 무빙 이미지와 사운드를 매체로 사용하 고, 영화관의 블랙박스와 전시 공간의 설치를 모두 활용한다. 그의 예술 작업은 주로 자본 과 기술, 노동과 자연의 관계, 세계관, 장르 영화, 이론적 픽션의 가능성 등에 집중한다.
23.04.25-07.09 《이제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NOW WHAT?》 리아 리잘디, 카사이터리트, 2019, Courtesy of the SeMA and artist,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카사이터리트>(2019)는 인도네시아 군도의 방카 섬에서 조사, 촬영, 기록된 이 작품 은 주석과 현대 기술의 복잡한 얽힘과 섬의 노동 역학을 탐구하는 비디오 설치 작품이 다. 주석은 추출되는 순간부터 전자 폐기물로 묻힐 때까지 기술에 대한 의존성을 형성 하는 행위자로 전 세계를 여행한다.
23.04.25-07.09 《이제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NOW WHAT?》 리아 리잘디, 아무것도 하지 않을 권리, 2021, Courtesy of the SeMA and artist,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아무것도 하지 않을 권리>(2021)는 비생산적인 세계로 안내하는 라디오 형식의 소닉 픽션이다. 일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세계에 사는 이주 가사노동자 A의 이야기를 담 고 있다. 이 연극은 산책자 A의 비판적 사고와 사색을 나란히 소리의 풍경으로 들려준다.
샘 발로우, 하프 머메이드 프로덕션 (Sam Barlow, Half Mermaid Productions)
샘 발로우는 하프 머메이드 프로덕션의 설립자이자 인터랙티브 내러티브의 한계를 뛰어넘는 게임을 만든 감독 겸 작가이다.
2007년 플레이어의 심리를 프로파일링하는 <사일런트 힐: 기억의 조각>을 제작했고, 2015년 <Her Story>에서는 유튜브 세대를 위해 탐정 게임이라는 장르를 재창조했다. 2019년 <Telling Lies>에서는 영상 통화로 이뤄지는 생활을 통해 정부 조직과 개인의 친밀감 사이에 일어나는 갈등을 살펴보았다.
23.04.25-07.09 《이제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NOW WHAT?》 샘발로우,하프 머메이드 프로덕션, 이모탈리티, 2022, Courtesy of the SeMA and artist,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이모탈리티>(2022)는 작가의 경력상 가장 야심 찬 프로젝트로 20세기의 영화 제작, 예술, 죽음을 다루는 호러 게임으로 분류된다. <이모탈리티>는 3부작으로 구성된 인터 랙티브 게임으로 플레이어가 장면과 장면 사이를 오가면서 사라진 세 편의 영화 속 장 면들을 탐색하고, 영화사의 수십 년을 가로지르며 ‘마리사 마르셀에게 무슨 일이 벌 어진 걸까?’라는 질문에 답을 찾도록 만든다.
테오 트리안타필리디스(TheoTriantafyllidis)
테오 트리안타필리디스는 디지털/물리적 매체를 사용하여 공간의 경험과 하이브리드적 현실에서 체화의 메커니즘을 탐구한다. 작가는 알고리즘과 게임 엔진, 가상현실 헤드셋, 실험적 퍼포먼스를 활용하여 몰입적 환경에서 벌어지는 상호작용을 만들어 낸다. 작가의 세계에서는 어색한 상호작용과 위태로운 물리학이 기괴하고 부조리하며 시적인 상황과 어우러지며, 이는 관객이 자신에게 주어진 새로운 현실에 몰입하도록 이끈다.
23.04.25-07.09 《이제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NOW WHAT?》 테오 트리안타필리디스, 버그심(페로몬 스파), 2022, Courtesy of the SeMA and artist,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오크 하우스>(2022)는 집에 갇힌 오크 가족이 현대적 생활의 의식을 수행한다. 작품은 메타버스의 악몽같은 버전으로, 재택근무의 기괴한 측면과 이를 가능하게 만드는 기술을 소재로 다룬다. 라이브 시뮬레이션과 실험적 연극을 결합한 <오크 하우스> 기술로 매개된 오크의 가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순간들은 여러모로 평범하지만, 오크의 괴물스러움으로 인해 오늘날 인간이 처한 조건을 보여주는 상징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버그심(페로몬 스파)>(2022)는 테라리엄에 보존된 미생물 생태계의 탄력성과 엔트로 피에 관한 실험을 보여준다. 폐쇄된 테라리엄은 영양, 호르몬 등 유기체의 연약한 커뮤니티에 필요한 다양한 자연의 주기들을 모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미스터리한 인물은 테라리엄 내부를 주의 깊게 관찰하며 자연을 수리한다는 개념의 모순에 대해 숙고하고 있다.
23.04.25-07.09 《이제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NOW WHAT?》 테오 트리안타필리디스, 오크 하우스, 2022, Courtesy of the SeMA and artist, 서울시립미술관 제공
ⓒ서울시립미술관 제공